2025 QA Korea Conference 4th 참석 후기
📁 Conference

/

2025.08.01
이번에 처음으로 진행되는 오프라인 QA Korea Conference 소식을 듣고 바로 티켓을 결제했어요.덕분에 얼리버드 가격으로 2만원 가량 저렴하게 등록할 수 있었어요.이번 컨퍼런스는Q(퀄리티) 트랙과 A(오토메이션)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해 듣는 구조라,사전에 어떤 세션을 들을지 미리 고민하고 준비해서 다녀왔습니다.Q 트랙 (Quality): 품질 전략, 테스트 프로세스, QA 조직 문화 등의 내용을 다루는 트랙A 트랙 (Automation): 테스트 자동화, 도구 활용, 기술적인 자동화 전략을 중심으로 다루는 트랙👇 QA Korea Conference 티켓 구매 사이트 2025 QA 코리아 컨퍼런스 | 대한민국 SW 품질 컨퍼런스2025 QA 코리아 컨퍼런스 – 대한민국 SW 품질 컨퍼런스 최신 ..
Playwright 강의 추천: E2E 자동화 시작하기 좋은 라이브러리
📁 Project

/

2025.08.01
Playwright는 2020년 Microsoft에서 공식 출시된 테스트 자동화 도구예요.출시된 지 오래되지 않아 Selenium에 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은 편이에요. 그래서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면“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지?” 하고 막막함을 느낄 수 있어요.저도 그랬고, 서칭 끝에 괜찮은 강의를 찾게 되어 이렇게 공유해보려고 합니다.1. 제가 추천드리는 강의는👇 LinkedIn Learning에서 제공하는 Playwright 강좌예요. Unlock the future of test automation with Playwright - Microsoft Playwright 동영상 튜토리얼 | LinkedIn Learning(이전Butch Mayhew님의 심도 있는 클래스 Learnin..
Playwright codegen: 테스트 코드 자동생성
📁 Automation

/

2025.07.28
`codegen`은 Playwright에서 제공하는 도구로,자동으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브라우저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기록하여 이를 코드로 변환할 때 사용돼요.이를 통해 Playwright 테스트를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요.사용방법1. Playwright 코드 생성 시작codegen을 실행하면 브라우저가 열리고, 사용자가 수행하는 모든 동작이 기록돼요.기록된 동작은 Playwright 테스트 코드 형식으로 출력돼요.npx playwright codegen2. 기록된 코드 확인브라우저에서 수행한 동작은 실시간으로 터미널에 기록돼요.예를 들어, 클릭, 입력, 페이지 이동 등의 동작을 하면 해당 동작이 Playwright 코드로 변환돼요.3. 코드 저장`codegen`을 종료하면, 생성된 ..
Playwright로 API 테스트하기: GET/POST 메서드와 응답 검증
📁 Automation

/

2025.07.17
1. API 기본개념API 테스트를 다룰 때, 기본적인 API 요청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API 테스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먼저 간단하게 소개하고,이후에 `GET`과 `POST` 테스트 예제를 다뤄볼게요.1-1. HTTP 요청 방식 (Methods)API에서 자원을 조작하거나 조회할 때 사용하는 HTTP 메서드는 크게 `GET`, `POST`, `PUT`, `DELETE` 등이 있어요.`GET`: 데이터 조회`POST`: 새 데이터 생성`PUT`: 데이터 수정 `DELETE`: 데이터 삭제👇 더 자세한 개념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프론트와 백이 소통하는 방법: HTTP, API 개념 정리1.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웹 서비스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요.클라이언트(Client): ..
Playwright를 활용한 로그인 인증 상태 저장 및 재사용 방법
📁 Automation

/

2025.07.13
1. 전체 프로젝트 파일 구조로그인 인증 과정을 테스트 전에 한 번만 수행하고,각 테스트에서 재사용하는 파일 구조 입니다:tests/│├── .auth/ # 로그인 상태 저장 (JSON 파일)│ └── customer01.json│├── tests/│ ├── auth.setup.ts # 로그인하고 토큰 저장하는 파일│ └── home.spec.ts # 저장된 로그인 상태로 테스트 수행│└── playwright.config.ts # Playwright 설정 파일auth.setup.ts → customer01.json 생성 ↓ home.spec...
Playwright vs Selenium: 테스트 전용 속성 및 요소 선택 우선순위 비교
📁 Automation

/

2025.07.12
1. 테스트 전용 속성이란?로그인위 코드에서 `data-test="login-btn"`은개발자가 테스트 자동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붙여놓은 식별자입니다.사용자 눈에는 보이지 않고UI 구조가 바뀌더라도 안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테스트 유지보수와 안정성을 높여줍니다.Selenium과 Playwright 모두 이 속성을 선택할 수 있지만,사용 방식과 편의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1-1. Playwright 에서의 사용 방식Playwright에서는 설정 파일에 아래 한 줄만 추가하면:// playwright.config.tsuse: { testIdAttribute: 'data-test',}이후 테스트 코드에서는 간단하게 요소를 선택할 수 있어요:// test.spec.tsawait page.getByTestId(..
Playwright로 E2E 테스트 환경 구축: 3대 브라우저 병렬 실행
📁 Automation

/

2025.07.11
1. Node.js 설치 확인Playwright는 Node.js 기반으로 동작합니다.node -vnpm -v명령어로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없다면 https://nodejs.org 에서 설치하세요.2. 프로젝트 폴더 만들기mkdir playwright-test # 폴더 생성cd playwright-test # 폴더 이동npm init -y # 기본값으로 package.json 생성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로 새 폴더를 생성하고 초기화합니다.폴더 생성을 생략하고 현재 디렉토리에서 바로 시작하면, `tests/`, `playwright.config.ts`, `.vscode/` 등 설정 파일이 모두 현재 디렉토리에 생성됩니다.2-1. npm init 와 npm init -y 차이점`n..
E2E 테스트, 시나리오와 무엇이 다를까? (feat. Playwright)
📁 Automation

/

2025.07.08
요즘 QA 직무를 채용하는 기업들을 보다 보면,Playwright, E2E, 애자일 같은 키워드를 자주 접하게 된다. 그만큼 QA는 단순히 수동 테스트만 하는 직무가 아니라,사용자 흐름을 기반으로 품질을 설계하고 자동화 역량을 갖춘 사람에 대한 선호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걸 느꼈다.1. E2E란?E2E(End-to-End) 테스트는 사용자의 실제 행동 흐름을 시작부터 끝까지 시뮬레이션하며전체 시스템을 검증하는 테스트 방식이다.처음 이 개념을 접했을 때, ‘테스트 시나리오랑 비슷한 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그런데 실제로는 시나리오와 E2E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 테스트 케이스 vs 테스트 시나리오 vs E2E 테스트2-1. 테스트 케이스 (기능단위)하나의 조건, 입력, 기대결과 기능..
time.sleep() 대신 WebDriverWait을 선택한 이유
📁 Automation

/

2025.07.08
1. time.sleep()을 써도 될까?Selenium으로 테스트 자동화를 하다보면, 로딩되는 타이밍이 일정하지 않아 테스트가 실패하는 경우가 생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처음엔 `time.sleep(3)` 처럼 고정 시간만큼 기다리는 방식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코드 리뷰 중 이런 피드백이 있었다.time.sleep() 은 테스트 자동화에선 웬만하면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처음엔 왜 쓰면 안 좋은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지 않았고,그냥 "지우는 게 좋구나" 정도로만 생각하며 `time.sleep()`을 제거했다.대신 `getElement()` 라는 메서드를 정의해, 요소가 로딩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2. 그런데 이런 질문을 받았다테스트 코드에 time.sleep()을 쓰셨던데, 어떤 이유..
Claude 단일 루프 기반 테스트 자동화 + Jenkins CI 구축
📁 Project

/

2025.06.23
1. AI 자동화 루프(MCP) 도전1차 프로젝트에서는 테스트 자동화의 전 과정을 수작업으로 설계하고 진행했어요:기능 정의 → 테스트 코드 작성 → 결과 리포트 기능 QA 프로세스 설계 및 테스트 자동화 구축👇 1차 팀 프로젝트 결과 공개더보기엘리스 QA 트랙 자동화 프로젝트 1차 결과 발표에서 저희 5팀은 우수상 을 수상했고,이번 결과는 더욱 보람차게 다가왔어요.단순히 상을 받았기 때문이 아니dayedev.tistory.com2차 프로젝트에서는 AI를 중심으로 한 자동화,AI 기반의 테스트 생성 루프(MCP: Multi-agent Control Pipeline) 를 시도해보았습니다.초기에는 Claude, Gemini, Copilot 세 가지 LLM을 동시에 연동한 다중 AI 구조로 시작했어요.1-1...